포인트
o. 초기 한능검 시험에서 출제된 하드코어 난이도의 문제입니다.
o. 우측상단 한자어의 시작 단어가 백제국사(百濟國使)이므로 백제와 관려된 선택지를 추려보는 시도가 필요합니다.
o. ④ 고구려 장수왕 시절(412-491)의 내용. 장수왕은 남북조와 각각 외교 관계를 맺어 중국을 견제하는 실리 외교를 펼쳤습니다.
o. 선택지를 1개 밖에 줄이지 못했지만, 정답률은 20%에서 25%로 올라갔습니다.
o. "양직공도"는 중국 남조(양,502-557)에 파견된 주변국의 사신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어, 5-6세기의 동아시아 외교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안타깝게도 진짜 양직공도는 현존하지 않습니다. 다행히 모사본이 남아있는데요. 문제의 사진에 보이는 그림은 "북송대 모사본"입니다.
o. 정답 : ⑤ 그림에 보인 백제사신은 6세기 무령왕 때 파견된 것으로 추정됩니다.
① 백제 무왕 재위시절의 사건
② 백제 근초고왕 재위시절의 사건
③ 백제 개로왕 재위시절의 사건
- "양직공도"에서는 그림 뿐만 아니라 글로된 역사적 사료가 남아있습니다. 이 글을 통해, 백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o. 백제의 요서 진출 내용
o. 무령왕은 22담로를 설치하여, 지방통치
o. 백제와 고구려는 언어, 의복 등 풍속이 유사함
문화일보, 13년 1월 15일자 기사인 "6세기 아시아 읽는 窓 ‘양직공도’를 아시나요"를 통해 양직공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시길.
참고기사 : http://www.munhwa.com/news/view.html?no=2013011501072430074006
'낙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해설 05번 : 고려 전시과 제도의 폐해와 공양왕의 과전법 시행 (0) | 2016.08.27 |
---|---|
제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해설 04번 : 6세기 신라의 비석(또는 비문) (0) | 2016.08.23 |
[기획] 비투자형 크라우드 펀딩 - 기부형/후원형 (0) | 2016.08.22 |
제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해설 02번 : 고려시대의 역사서 - 고려 후기 민족/자주적 역사관 (0) | 2016.08.21 |
제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해설 01번 : 구석기 유적지 (0) | 2016.08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