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경관리사 재무회계 - 사채, 이자비용, 복합금융부채
■ 21. 사채
1. 발행유형
분류 | 발행유행 |
유효 이자율 = 액면 이자율 | 액면발행 |
유효 이자율 < 액면 이자율 | 할증발행 |
유효 이자율 > 액면 이자율 | 할인발행 |
2. 주요산식 ★
가. 조달가능액(취득원가, 장부가액) = 액면금액 × 단일현가(n, 유효 이자율)
+ 액면이자(=액면금액 × 액면 이자율) × 연금현가(n, 유효 이자율)
나. 총이자비용 = 액면이자(=액면금액 × 액면 이자율) × n + 사채할인발행차금총액
다. 사채할인발행 상각표
| 유효이자율(6%) | 액면이자율(5%) | 상각액 | 장부가액 |
X1. 1. 1. |
|
|
| 조달가능액(1) |
X1. 12. 31. | (1)*0.06= (A) | 액면금액*0.05=(B) | (A) - (B) | (1) + (A) - (B) |
|
|
|
|
|
■ 22. 이자비용
1. 이자비용
발행유행 | 연간이자비용 |
액면발행 | 일정 |
할증발행 | 감소 |
할인발행 | 증가 |
2. 상환손익
발행유행 | 연간이자비용 |
상환 이자율 > 발행 이자율 | 상환 이익 |
상환 이자율 < 발행 이자율 | 상환 손실 |
*. 시장 이자율이 증가 → 사채가격 하락 → 상환에 드는 비용 감소 → (조기)상환 이익
**. 시장 이자율이 하락 → 사채가격 상승 → 상환에 드는 비용 증가 → (조기)상환 손실
■ 23. 복합금융부채
1. 전환사채
가. 전환사채 = 일반사채(금융부채) + 전환권(자본)
*. 전환권이 부여되지 않은 사채가액은 금융부채로, 전환권가치는 자본으로 분리하여 표시.
**. 전환사채는 전환권이 내재되어 있어 대개 일반사채보다 표면금리가 낮게 책정되어 있음.
나. 이자율 : 유효 이자율 > 보장 이자율 > 액면 이자율
다. 만기가액 = 원금 + 상환할증금
라. 전환권조정(사채차감계정) = 만기가액 - 현재가치
마. 전환권대가(자본) = 전환권조정 - 상환할증금 = 액면가액 - 현재가치
2. 상환우선주 : 우선주의 배당과 상환의무여부에 따라 부채와 자본으로 분류
'낙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경관리사 재무회계 - 자본의 의의, 자기주식, 자본변동표 (0) | 2017.03.21 |
---|---|
재경관리사 재무회계 - 충당부채의 의의, 충당부채의 계산 (0) | 2017.03.19 |
재경관리사 재무회계 - 매도가능금융자산, 금융부채 (0) | 2017.03.19 |
재경관리사 재무회계 - 당좌자산, 금융자산의 의의 (0) | 2017.03.18 |
재경관리사 재무회계 - 투자부동산의 의의, 투자부동산 회계처리 (0) | 2017.03.15 |